
문제 설명
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(tuple)이라고 합니다.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-튜플(n-tuple)이라고 하며,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(a1, a2, a3, ..., an)
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.
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. ex : (2, 3, 1, 2)
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,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. ex : (1, 2, 3) ≠ (1, 3, 2)
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.
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,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(a1, a2, a3, ..., an)이 주어질 때(단, a1, a2, ..., an은 자연수),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'{', '}'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{{a1}, {a1, a2}, {a1, a2, a3}, {a1, a2, a3, a4}, ... {a1, a2, a3, a4, ..., an}}
예를 들어 튜플이 (2, 1, 3, 4)인 경우 이는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 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이때,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 {{2, 1, 3, 4}, {2}, {2, 1, 3}, {2, 1}} {{1, 2, 3}, {2, 1}, {1, 2, 4, 3}, {2}} 는 모두 같은 튜플 (2, 1, 3, 4)를 나타냅니다.
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s의 길이는 5 이상 1,000,000 이하입니다.
s는 숫자와 '{', '}', ','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.
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.
s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,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 5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.
입출력 예시
s | result |
"{{2},{2, 1},{2, 1, 3},{2, 1, 3, 4}}" | [2, 1, 3, 4] |
"{{1, 2, 3},{2,1},{1,2,4,3},{2}}" | [2, 1, 3, 4] |
"{{20, 111},{111}}" | [111, 20] |
"{{123}}" | [123] |
"{{4, 2, 3},{3},{2,3,4,1},{2,3}}" | [3, 2, 4, 1] |
풀이 코드
s 는 5 이상 10^6 이하 정도 제한 사항만 파악한 뒤 문제를 풀었다.
s 가 자료구조가 아닌 '' 문자열 형태이기 때문에 슬라이싱을 활용해 바깥 중괄호를 제거하고, eval() 함수를 활용해 set 을 list 로 변환하는 방법을 생각했는데, 가장 작은 길이의 set 부터 시작해서 내부 원소를 하나씩 삽입하면 된다고 생각하고 푼 첫 풀이는 실패 ..
다른 TC 는 다 통과했는데, {{123}} 에서 계속 막혔었다.
def solution(s):
answer = []
# 문자열 s 의 바깥 중괄호를 제거한다.
s = s[1:-1]
s = eval(s)
# eval() 을 활용해 set() -> list() 로 변환
my_list = []
for i in s:
my_list.append(list(i))
while len(my_list) != 0:
min_len_list = min(my_list, key=len)
for i in min_len_list:
if answer.count(i) > 0: # 이미 있다면
continue
answer.append(i)
my_list.remove(min_len_list)
return answer
eval() 을 사용하지 않고 어떻게 해결할까 고민하다가 while 문 부분은 동일하게 놔두고 앞 중괄호 '{{' 와 뒤 중괄호 '}}' 를 슬라이싱으로 자르고 '},{' 기준으로 자른 뒤, for 문을 돌면서 새로운 list 에 추가하는 방법으로 변경했다. 이렇게 해도 통과하기는 하지만, 아슬아슬하게 시간이 걸치는 것 같았다.
def solution(s):
answer = []
s = s[2:-2]
elements = s.split('},{')
my_list = []
for e in elements:
inner_list = e.split(',')
inner_list = list(map(int, inner_list))
my_list.append(inner_list)
while len(my_list) != 0:
min_len_list = min(my_list, key=len)
for i in min_len_list:
if answer.count(i) > 0: # 이미 있다면
continue
answer.append(i)
my_list.remove(min_len_list)
return answer
그래서 책을 참고한 풀이는 다음과 같다.
맨 앞 중괄호 2개, 맨 뒤 중괄호 2개를 자르는 것은 동일하지만 길이 순으로 바로 정렬을 해서 s 에 갱신하고 list 가 아닌 dict 을 사용해서 시간 복잡도를 확 낮춘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(~ not in list 가 아닌 ~ not in dict 으로 O(1) 의 시간 복잡도로 낮춘 것)
def solution(s):
answer = {}
data = s[2:-2].split('},{', key=len)
for item in data:
elements = item.split(',')
for element in elements:
number = int(element)
if number not in answer:
# 아무런 값이나 넣어도 상관없다. key 가 중요한 것이니까
answer[number] = 1
return list(answer)
'알고리즘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(Python) 알고리즘 문제풀이 신규 아이디 추천 [프로그래머스 / 문자열] (0) | 2023.05.28 |
---|---|
파이썬(Python) 알고리즘 문제풀이 이진 변환 반복하기 [프로그래머스 / 문자열] (0) | 2023.05.28 |
파이썬(Python) 알고리즘 문제풀이 문자열 압축 [프로그래머스 / 문자열] (0) | 2023.05.25 |
파이썬(Python) 알고리즘 문제풀이 짝지어 제거하기 [프로그래머스 / 문자열] (0) | 2023.05.25 |
파이썬(Python) 알고리즘 문제풀이 3진법 뒤집기 [프로그래머스 / 문자열] (0) | 2023.05.23 |